Monday, September 1, 2025

Decalogue - the first commandment


The First Commandment


The Ten Commandments are recorded in both Exodus 20 and Deuteronomy 5, but different traditions number and divide them differently. Roman Catholics and Lutherans include the prohibition of idolatry within the first commandment while splitting the final "do not covet" into two. Eastern Orthodox and Protestant traditions separate the prohibition of idolatry as an independent second commandment. Here, we follow the numbering of most Protestant traditions.

"I am the LORD your God, who brought you out of the land of slavery. You shall have no other gods before me."
(
Exod. 20:2–3)

The Commandment: A Covenant Grounded in Salvation

In the Protestant tradition, the first commandment is summarized as "You shall have no other gods before me" (Exodus 20:3). However, this command must be read together with the preceding declaration: "I am the LORD your God, who brought you out of the land of slavery" (Exodus 20:2). The commandment represents a request for a new relationship grounded in divine salvific activity. This is not a coercive imposition of exclusive monotheism, but rather an invitation to participate in the divine self-disclosure as it manifests in the world—a call not to depart from the liberation trajectory by aligning oneself with the divine direction and breath. The divine name is not bound to a particular ethnic or religious identity, but discloses the divine character. The covenant between deity and people emerges when divine activity—descending in response to the people's cry from their historical condition of enslavement—becomes visible within history.

"The LORD did not set his affection on you and choose you because you were more numerous than other peoples, for you were the fewest of all peoples. But it was because the LORD loved you and kept the oath he swore to your ancestors that he brought you out with a mighty hand and redeemed you from the land of slavery, from the power of Pharaoh king of Egypt." (Deuteronomy 7:7-8)

Covenant: An Invitation to the Journey of Knowing God

Many scholars have interpreted the Decalogue through the lens of ancient Near Eastern Suzerain-Vassal Treaty formulae. They note the parallel between vassals' loyalty oaths before their overlord—"You shall not serve another king before me"—and the oath structure of the Ten Commandments. From this perspective, the commandments constitute a loyalty oath to YHWH's governing order and value system. While this interpretation illuminates how the commandments articulate divine order and values, it has limitations when the deity is understood merely as another sovereign in the manner of other ancient Near Eastern deities. To properly understand the Decalogue, we must recognize the distinctiveness of YHWH faith. While ancient Near Eastern deities were rooted in territory and bloodline, YHWH discloses divine identity through communal order and value systems—exemplified by the protection of the vulnerable in the Pentateuch—and the way of life these require.

Additionally, though the Decalogue has historically occupied a central position in Christian faith practice, it has frequently been interpreted through legalistic or doctrinal frameworks. However, the Decalogue functions as covenant. Covenant establishes itself within the relational matrix of "I and you," constituting an invitation to participate in relationship with the divine. Therefore, the Decalogue should not be read as a prescriptive catalog, but understood as articulating values, existential orientation, and vocation within the journey of knowing the divine. YHWH, who discloses the divine self through salvific activity, invites particip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spirit/breath that this saving activity reveals in history, rather than demanding exclusive loyalty.

The Gospel tradition records: "Whoever loves me will keep my commandments" (John 14:15). Here, commandments function not as punitive regulations but as the linguistic expression of a love relationship. Affection for the divine heart, pursuits, and breath generates practice from one's irreplaceable position of participation in that breathing. Within this praxis, the divine becomes source of wisdom and aid, expanding human understanding. Faith, therefore, manifests as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covenantal relationship, and within that relationship humans journey toward knowing the divine.

Invitation: A Liberated Community Breathing with the Divine

Biblical texts testify that humanity is constituted by divine breath. From this anthropological perspective, the first commandment functions as YHWH's invitation to restoration into unity—into one breath. The Hebrew Bible's emphasis on "one YHWH, one temple" does not signify worship of a singular deity at a single cultic location. "You are my people, YHWH is your God" articulates not an exclusive privileged relationship, but an invitation to exist in unified breath with the divine. This follows from the commandment's character as covenant connected to a people experiencing divine descending salvation.

From this interpretive framework, YHWH's self-disclosure operates not through cultic ritual or religious identity markers, but through the directionality manifested in lived praxis. Regarding the etymology of YHWH's name ("I am that I am"), several scholarly interpretations merit attention: 1) the majority of scholars argue it derives from the verb "hayah" (to be); 2) some scholars argue it derives from the verb "hawah" meaning "to move dynamically like a storm"; 3) certain interpretations suggest a connection to the sound of human respiration—inhalation and exhalation. As an imperfect verb signifying existence or activity, the divine name employs a tense encompassing past, present, and future temporality. The name itself functions verbally rather than nominally, expressing "deity in motion," "deity beyond limitation," and "deity co-evolving with the people." The divine identity manifests through divine activity. The commandment does not assert exclusive monotheism but articulates "the deity's being-as-deity" through the direction of activity.

Within this interpretive context, the commandment reflects the divine vision/design for community created in the world through divine salvific activity, as divine and human breath harmonize and connect. Korean philosophy developed i-gi theory as a mode of metaphysical reasoning. In simplified terms, li (理) signifies the principle underlying phenomena and order, while gi (氣) denotes the dynamic energy through which that principle operates. The Decalogue discloses the divine orientation and intentionality. Simultaneously, it constitutes a covenantal promise that vitality and breath are provided when humans participate in this breathing.

If you participate in this dream and pursue this design, I will be there with you, and I will move to make it so. In this way, I will make known to the world who I am, and you who participate in this way are my people.

The Character of Salvific Activity: The Descending Divine

Divine salvific activity liberates people from enslavement. When individual habits, desires, distorted perceptions, and social structures hold humans captive, humans experience that they do not exercise agency over their own existence. The first commandment invites entry into the liberation journey from all such forms of domination through participation in divine breath. Within this journey, human perspective transforms, opportunities emerge for habit reformation, and power develops to choose alternative existential orientations. Human embodiment gains opportunity to habituate itself to this breathing within freedom.

Therefore, this first commandment articulates a paradoxical promise: participation in the dominion of divine breath generates liberation from all other forms of domination. Approaching the divine through East Asian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ne may speak of the divine as mu (無—nothingness/emptiness) that resists linguistic limitation. In East Asian understanding, mu signifies not absence or void, but fullness prior to all definition—that the divine cannot be circumscribed or limited. From this perspective, the first commandment calls for participation and entry into this divine mu (nothingness/oneness), explaining the paradox that humans experience freedom through limitation within that divine unity. This resonates with the Hellenistic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becoming those who "participate in the divine nature" (2 Peter 1:4). When humans enter into oneness and connect with divine breath, simultaneously the divine expands the divine self in the world through human agency.

Divine salvific activity flows toward marginalized spaces. When humans experience weakness, brokenness, or alienation, the divine presence manifests. Therefore, existence participating in divine breath constitutes existence flowing toward marginalized others. Through practices of compassion and justice, humans learn the divine mode of salvation and actualize divine governance in the present. Simultaneously, concrete transformation is attempted so that divine values permeate all domains of existence—daily practices, health, relationship with nature, economic decisions. This connects to the path of gathering human breath into unity.

I Will Never Depart from This Journey with the Descending Divine

The first commandment decidedly does not constitute an exclusivist commandment limiting divinity to Israel's YHWH, to ethnicity, deity, or religious institution. Biblical texts portray the divine not as an exclusivist monotheistic entity, but as one who unfolds salvific action in the world and establishes covenantal relationships with those who participate in that activity. For people who experienced "divine descent" as liberation, it functions as invitation and promise—to achieve independence from other forms of domination and influence, to flow together with values and breath oriented toward divine unity. On that trajectory, humans participate in divine character and articulate the divine to the world as the divine's irreplaceable narrative.

Therefore, we will not depart from this path of unity. I will never leave this journey with the divine who descended to me—the journey of descending together toward marginalized spaces.

십계명 1. 나는 내게 내려오신 하나님과 함께하는 여정을 결코 떠나지 않을 것입니다.

첫번째 계명

십계명은 출애굽기 20장과 신명기 5장에 기록되어 있으나, 전통별로 계명을 분할하는, 번호 매기는 방식이 다릅니다. 로마 가톨릭과 루터교는 ‘우상 금지’를 첫 계명 안에 포함시키는 대신, 마지막 ‘탐내지 말라’를 둘로 나누고, 동방 정교회와 개신교는 ‘우상 금지’를 독립된 둘째 계명으로 분리합니다. 여기서 대다수 개신교 전통의 순서를 따르도록 합니다. 

“나는 너희를 종살이하던 집에서 이끌어낸 주 너희의 하나님이다. 그러므로 내 앞에 다른 신들을 두지 말라.”
(출 20:2-3)


계명의 위치: 구원 사건에 종속된 언약

개신교 전통에서 첫 번째 계명은 “내 앞에 다른 신들을 두지 말라”(출 20:3)로 요약됩니다. 그러나 이 명령은 앞선 선언—“나는 너희를 종살이하던 집에서 이끌어낸 주 너희의 하나님”(출 20:2)—을 함께 읽어야 합니다. 계명은 하나님의 구원활동과 연결된 새로운 관계 요청입니다. 이는 배타적 유일신에 대한 강요가 아니라, 구원활동을 세상에 펼치는 '자기 드러냄(계시)'에 참여하라는 초청이며 하나님의 방향성과 하나의 호흡이 되어 그 해방의 여정에서 벗어나지 말라는 부탁입니다. 하나님의 이름은 특정 민족 혹은 특정 종교와 연결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속성을 드러냅니다. 종살이라는 백성의 현존그 백성의 부르짖음을 듣고 찾아 내려오신 하나님의 활동이 역사 안에 드러날 때 하나님과 백성의 언약이 시작됩니다. 

"여호와께서 너희를 기뻐하시고 너희를 택하심은 너희가 다른 민족보다 수가 많은 연고가 아니라 너희는 오히려 모든 민족 중에 가장 적으니라. 여호와께서 다만 너희를 사랑하심으로 말미암아, 또는 너희의 조상들에게 하신 맹세를 지키려 하심으로 말미암아 자기의 권능의 손으로 너희를 인도하여 내사 종 되었던 집에서 애굽 왕 바로의 손에서 속량하셨나니 (신명기 7장 7-8절)"


언약: 하나님을 알아가는 여정으로의 초대

십계명 본문에 대하여 다수의 학자들은 고대 근동의 군주 계약 양식(Suzerain-Vassal Treaty)을 떠올려 맥락을 설명하기도 합니다. 영주들이 군주 앞에 충성 맹세를 할 때 “너는 내 앞에서 다른 왕을 섬기지 말라”는 서약과 십계명의 서약이 유사하다는 주장입니다. 그 주장을 따르면 계명은 군주인 야웨 하나님의 지배 질서와 가치 체계에 대한 충성 맹세입니다. 하지만 이 해석이 계명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 유용하나, 하나님을 단순히 고대 근동의 다른 신들과 동일한 방식의 군주로만 이해할 때는 한계가 있습니다. 더 나아가, 십계명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야웨 신앙의 독특성을 인식해야 합니다. 고대 근동의 신들이 영토와 혈통에 기반했다면, 야웨는 오경의 약자 보호로 대표되는 공동체 질서와 가치 체계, 그리고 그것이 요청하는 삶의 방식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냅니다. 

또 오랜 기간 실천적으로도 십계명은 기독교 신앙의 핵심이었으나 많은 경우 법률 조항이나 교리처럼 이해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십계명은 언약입니다. 언약은 ‘나와 너’ 라는 관계 속에서 성립하며, 하나님과의 관계에 참여하라는 초대입니다. 따라서 십계명을 규범의 목록으로 읽을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알아가는 여정 안에서 가치와 삶의 방향, 그리고 부름의 관점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구원 활동을 통해 자신을 드러내신 야웨는 배타적 충성을 요청하기보다 구원 활동이 역사 안에 드러낸 호흡(숨결)의 방향성에 참여를 요청하고 있습니다. 

예수는 “나를 사랑하는 자는 내 계명을 지킨다”(요 14:15)고 합니다. 여기서 계명은 처벌 규칙이 아니라 사랑 관계의 언어화입니다. 하나님의 마음과 추구, 그 숨결을 사랑하기에 그 호흡에 함께 참여하려는 대체불가능한 자신의 자리에서의 실천이 뒤따릅니다. 그 걸음 안에서 하나님은 도움과 지혜가 되고 우리의 이해가 확장됩니다. 그러므로 신앙은 언약 관계에 참여하는 과정이며, 그 관계 안에서 우리는 하나님을 알아가는 여정을 지납니다. 


초청: 하나님과 함께 숨쉬는 해방된 백성들

성서는 인간을 하나님의 호흡으로 빚어진 존재로 증언합니다. 이 관점에서 첫 계명은 하나됨: 하나의 호흡으로 회복하라는 야웨의 초청입니다. 구약 신앙의 '하나의 야웨, 하나의 성전'은 유일신 숭배와 단일한 예배 장소를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너희는 내 백성, 야웨는 너희 하나님"은 배타적 특권 관계가 아니라 하나님과 백성이 일치된 호흡으로 살아가라는 초청입니다. 계명은 내려오시는 하나님의 구원을 경험하는 백성에게 연결된 언약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야웨는 특정 종교의 의식이나 정체성이 아니라 삶의 행동이 드러내는 방향성으로 계시됩니다. 야웨의 이름 (나는 나다 'I am that I am')의 기원에 관한 다양한 해석 안에서 중요한 주장들이 있습니다: 1) 대다수의 학자들은 존재하다 '하야' 동사에서 유래하였다고 주장합니다; 2) 일부의 학자들은 '폭풍우와 같이 역동하여 움직이다'를 의미하는 '하와' 동사에서 유래하였다고 주장합니다; 3) 어떤 해석에서는 인간의 호흡소리, 숨결 (들이쉬고 내쉬고) 소리에서 유래하였다고 하기도 합니다; 존재 혹은 활동을 의미하는 미완료 동사로서 하나님의 이름은 과거, 현재, 미래를 포괄하는 시제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름 자체가 명사가 아니라 동사로서 '움직이시는 하나님,' '제한할 수 없는 하나님,' 그리고 '그의 백성과 함께 성장하시는 하나님'을 표현합니다. 하나님은 그 움직임으로 자신의 정체를 알리십니다. 계명은 하나님을 배타적 유일신을 주장하지 않으며 활동의 방향성으로 '하나님의 하나님 됨'을 말합니다.

이 맥락에서 계명은 하나님과 백성의 호흡이 조화를 이루어 연결되는 길에 하나님의 구원활동이 세상에 창조한 공동체에 관한 하나님의 꿈/설계 (Design)를 반영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기론이라는 철학적 사유를 하였습니다. 보편적이고 간략한 방식으로 설명하자면, 리(理)는 사물과 질서의 원리를, 기(氣)는 그 원리가 역동하는 에너지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십계명은 하나님의 마음과 방향을 드러냅니다. 동시에 이 호흡에 참여할 때 생기와 호흡이 제공된다는 약속이 주어지고 있는 언약입니다. 

너희가 이 꿈에 참여하여 이 설계를 추구하면, 거기에 나도 함께 있을 것이고 나는 그렇게 되도록 움직일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내가 누구인지 세상에 알릴 것이고 그렇게 참여하는 너희가 나의 백성이다.     


구원활동의 성격: 내려오시는 하나님

하나님의 구원활동은 종살이 하던 백성들을 해방하였습니다. 한 사람의 습관, 욕망, 왜곡된 관점, 그리고 어떤 사회적 압력들이 우리를 붙잡아 둘 때, 우리는 우리 자신의 삶에서 지배력을 행사하는 것이 자신이 아님을 경험합니다. 첫 계명은 하나님의 숨결에 참여하여 그 모든 지배로부터 벗어나는 해방의 여정을 시작하라는 초대입니다. 이 여정에서 우리의 바라보는 시야가 달라지고, 습관을 전환할 기회를 얻으며, 삶의 태도를 다르게 선택할 힘을 얻습니다. 우리의 몸은 자유 안에서 이 호흡에 몸을 익숙하게 하는 기회를 얻습니다. 

그러므로 이 첫 계명은 하나님의 호흡의 지배 안으로 참여할 때 다른 모든 지배에서 해방된다는 역설의 약속입니다. 하나님을 동양의 이해로 접근하면 어떤 언어로도 제한할 수 없는 무(無)로 말할 수 있습니다. 동양의 이해에서 ‘무’는 없음/공허 보다는, 모든 규정 이전의 충만으로 하나님을 정의하거나 제한할 수 없음 말합니다. 이 관점에서 첫 계명은 이 무(無)의 하나님 안으로 참여해 들어가라는 부름 이며, 그 하나님 (하나됨) 안에서 제한될 때 우리가 자유를 경험한다는 역설을 설명합니다. 이는 헬라 철학의 이해로서 “신의 성품에 참여”(벧후 1:4)와 공명되기도 합니다. 우리가 하나됨 안으로, 하나님의 호흡과 연결될 때 동시에, 하나님은 우리를 통해 이 세상에서 자신을 확장합니다.

하나님의 구원 활동은 낮은 곳으로 흐릅니다. 우리가 약할 때, 깨져 있을 때, 소외되었을 때 하나님은 찾아오셨습니다. 따라서 하나님의 호흡에 참여하는 삶은 소외된 이웃 곁으로 흐르는 삶입니다. 자비와 정의의 실천 속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구원 방식을 배우고, 그분의 통치 질서를 현재화 합니다. 동시에, 일상의 습관 · 건강 · 자연과의 관계, 경제적 선택까지—삶의 전 영역에 하나님의 가치가 스며들도록 구체적 전환을 시도합니다. 이것이 우리의 호흡을 하나됨으로 모아 가는 길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나는 내게 내려오신 하나님과 함께하는 여정을 결코 떠나지 않을 것입니다

첫 계명은 결코 이스라엘의 야웨로 민족, 신, 종교로 제한하라는 배타의 계명이 아닙니다. 성서는 하나님을 배타적 유일신이 아니라 세상 안에서 구원 행동을 펼치시는 분으로 그 활동에 참여하는 이들과 언약 관계를 세우는 분으로 서술합니다. “하나님의 내려오심” 을 해방으로 경험한 백성들에게 다른 지배와 영향력으로부터 독립하여, 하나님의 하나됨을 향한 가치와 호흡과 함께 흐르도록 하는 초청이며 약속입니다. 그 길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성품에 참여하는 자이며 대체불가능한 하나님의 이야기로 세상에 하나님을 말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하나됨의 길에서 떠나지 않을 것입니다. 나는 내게 내려오신 하나님과 함께하는 여정 - 또 낮은 자리로 함께 내려가는 여정 - 을 결코 떠나지 않을 것입니다.  

Introduction to HEART (HEART 소개)

 HEART: 

Hold the story

Embrace voices

Address the now

Rewrite the story

Tell the truth


1. Hold the story 그 이야기를 바탕으로

그 이야기는 첫 예수 사건, 예수 운동, 그리고 우리를 사람이게 하였던 그 기억입니다.
이 이야기에서 성서는 매우 중요한 읽어낼 본문입니다. 그러나 본문은 성서로 한정되지 않습니다. 

"The story" is rooted in the first Jesus case, the Jesus movement, and the memory that made us truly human. In this story, Scripture is an essential TEXT to read. Yet, the text is not limited to Scripture alone. 

2. Embrace voices 다양한 목소리들을 품고

그 이야기가 전달되는 수 많은 관점과 이야기들이 있습니다.
그 이야기는 하나의 올바른 이야기가 아니라 다양한 이야기들이 함께 있어 건강하게 합니다. 

There are countless perspectives and narratives through which "the story" is told. This story is not a single “correct” account but a tapestry of diverse stories that together bring health and wholeness. 

3. Address the now 오늘을 말하도록

그 이야기는 오늘 여기를 말하도록 합니다.
오늘 여기와 연결되지 않은 이야기들은 그 몸을 잃어버립니다. 

"The story" calls us to speak to the now. Stories disconnected from the here and now lose their embodiment. 

4. Rewrite the story 그 이야기를 다시 씁니다

그 이야기는 우리 삶의 대체불가능한 독특성 안에서 새로운 의미를 얻습니다.
그리고 우리의 몸과 말로 다시 쓰여집니다. 

"The story" gains new meaning within the irreplaceable uniqueness of our lives. It is rewritten through our bodies and our words. 

5. Tell the Story 그렇게 진실을 말합니다

그 이야기의 기억, 수 많은 이야기의 들음, 오늘과의 조우, 그리고 우리의 삶으로 다시 쓰기.
우리는 그렇게 진실을 말합니다. 우리에게 몸으로 기억되어 진실은 전달됩니다.  

The memory of "the story," the listening to many voices, the encounter with today, and the rewriting through our lives—This is how we speak the truth. Truth is embodied in us and passed on through us.



Decalogue - the first commandment

The First Commandment The Ten Commandments are recorded in both Exodus 20 and Deuteronomy 5 , but different traditions number and divide th...